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치매와 싸우지 마세요」 - 나가오 가즈히로 책소개, 따뜻한 이야기,느낀점

by 방통e 2025. 3. 24.
반응형

 

📖 치매와 싸우지 마세요 - 나가오 가즈히로

책 소개

《치매와 싸우지 마세요》는 일본의 가정의학과 의사이자 치매 전문가인 나가오 가즈히로가 쓴 책입니다. 저자는 치매를 단순한 병이 아니라, 함께 살아가야 할 삶의 한 부분으로 바라봐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 책은 치매 환자와 가족이 겪는 현실적인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도록 따뜻한 시선과 실용적인 조언을 담고 있습니다.

 

치매와 싸우지 마세요 나가오 가즈히로의 책 일부분

책의 주요 내용

1. "치매와 싸우지 말고, 받아들이세요"

   

     치매를 환자의 잘못으로 여기고 논리적으로 설득하려 하면 오히려 환자의 불안과 혼란을 키우게 된다. 환자의 감정을 이해하고,       그들의 세계를 존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 기억이 아니라  관계를 소중히 하세요"

   환자가 가족을 기억하지 못하더라도, 따뜻한 태도와 분위기는 환자의 정서적 안정에 큰 도움이 됩니다.

   중요한 것은 함께하는 시간과 따뜻한 교감입니다.

 

3. "정답을 찾으려 하지 말고, 유연하게 대응하세요"

    치매 환자의 말이나 행동에 일일이 정답을 강요하는 것은 무의미합니다

    때로는 환자가 믿고 있는 세계를 그대로 인정해 주는 것이 더 좋은 방법입니다.

이 책을 읽고 나서

치매는 누구에게나 찾아올 수 있는 현실이다. 하지만 이 책을 읽고 나면, 치매를 무조건 두려워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가족들이 치매를 앓고 있는 loved one을 대할 때, 논리보다는 감정, 이성보다는 공감을 더 중요하게 여겨야 한다는 점이 가장 인상 깊었다. 결국, 치매 환자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기억이 아니라 **사랑과 이해**라는 것을 이 책을 통해 배울 수 있다.

 

치매와 싸우지 마세요

"치매와 싸우지 마세요"는 치매 환자를 대하는 태도에 대한 중요한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치매는 단순히 기억을 잃는 병이 아니라, 삶의 방향이 바뀌고 주변 사람들의 인내와 이해가 필요한 질환입니다. 많은 가족들이 치매 환자를 돌보면서 감정적으로 힘들어하고, 때로는 환자의 변화에 화를 내기도 합니다. 그러나 치매 환자는 의도적으로 문제를 일으키는 것이 아니라, 병 때문에 그렇게 행동하는 것입니다.

이 책에서는 치매와 싸우기보다는 그 흐름을 받아들이고, 환자의 세계를 이해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환자가 과거의 기억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면, 그 기억을 부정하기보다 함께 공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환자의 이야기를 끝까지 들어주고, 그들의 감정을 존중하는 것이야말로 돌봄의 핵심입니다.

 

이 글을 읽으며 치매 환자를 돌보는 것은 단순한 간병이 아니라, 인생의 또 다른 형태의 사랑과 이해가 필요하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치매 환자가 기억을 잃어가더라도, 우리는 그들의 감정을 존중하고,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태도가 필요합니다.

또한, 환자를 돌보는 가족들이 자신의 감정을 너무 억누르지 않고, 지치지 않도록 스스로를 돌보는 것도 중요하다는 점을 배웠습니다. 치매 환자를 대할 때 ‘왜 저렇게 행동할까’라는 의문보다는 ‘이 사람은 어떤 감정을 느끼고 있을까’라고 생각하면 더 따뜻한 돌봄이 가능할 것입니다.

이 책의 글은 단순한 이론이 아니라, 실제 치매 환자를 돌보는 이들에게 큰 위로가 되는 메시지를 전합니다. 결국, 치매와 싸우려 하지 말고, 함께 걸어가는 자세가 필요하다는 것을 다시 한번 되새기게 됩니다.

 

우리가족의 중심이셨던 나의 어머니는 4형제를 키우시며 항상 맛있게 음식을 해주셨고 힘든 내색없이 저희 형제들을 키우셨습니다.
첫째 아들이 24살되던 해에 교통사고로 먼저 하늘나라로 보내게 되고그상심이 너무 크셨을테지만, 남은 3형제를 위해서 열심히 살아오셨습니다. 어머님이 치매 증상을 보이시던 초기에는 시장에 다녀오셔서 사오셔야할 것을 사오지 않으시는 일이 있으셨고 본인에게 화를 내시는 일이 늘었습니다. 그때 쯤 아버님이 너무 편찮으셔서 어머니의 변화를 단순한 기억 감퇴라고 여겼었습니다.
음식이 조금씩 짜거나 달아지고 위가 안좋으셔서 음식을 짜지 않게 드시는 아버지께서는 음식이 점점 짜진다고 하셨었습니다.
평소엔 뜨개질도 많이 하시고 저녁 마실도 자주 다니셨는데, 점점 그 수도 줄어들며 그 부지런하신 분이  "귀찮다" 라는 말씀을 자주 하셨었어요. 
가족들과 상의하고 병원을 모시고 가서 검사를 받았는데 알츠하이머 초기 라는 진단을 받았어요.
형제들은 결혼해서 각기 다른 지역에 살았었는데 그때 쯤 저희 가족들은 모두 가까운 곳으로 이사를 해서 부모님과 가까이 살며 자주 찾아 뵈었고 지금은 내가 누구인지 어디가 집인지 아무것도 알지 못하시지만 10년이 넘어가는 지금까지도 너무 건강하시네요.
처음엔 엄마의 변화를 받아 들이지 못했고 두렵고 속상한 마음에 짜증도 내고 화도 많이 내었었습니다. 아버지께 혼도 나고 집이 편안하기 보다 싸움의 연속이었어요. 지금도 치매에 대해서 잘 알지도 못하니 책을 읽고 이렇게 기억하고자 글도 남겨봅니다.
 

지금은 우리 형제 모두를 알아보지 못하시지만 문득 자식 이름을 한명씩 불러보기도 하시고, 손주의 이름을 기억하고 모든 아이는 본인의 손주가 되어 불리고 있습니다. 

어린아이처럼 엄마를 찾고, 인형을 아기처럼 생각하셔서 인형 만지는 손주 야단도 치시는 저의 어머니.

 


이책의 글처럼 이제 치매랑 싸우지말고 지금 이순간을 사랑하며 함께 하야겠다고 느꼈습니다.

 

"지매와 싸우지 마세요" 사랑하는 가족을 대하는 가장 따뜻한 방법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