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치매약 복용후 부작용( 불면증, 현기증,소화장애) 대응법, 약물 치료, 인지 치료 효과 장단점 비교

by 방통e 2025. 4. 6.
반응형

치매 환자의 치료 과정에서 약물 복용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치매약을 복용한 이후 다양한 증상이 동반되기도 하며, 이에 대한 적절한 대응과 병행 치료법 선택이 환자의 삶의 질을 좌우합니다. 저의 어머님도 치매약을 복용하시면서 나타났던 증세이기에 치매약 복용 후 자주 나타나는 대표적인 증상인 불면, 현기증, 오심에 대해 알아보고, 약물치료와 인지치료의 효과를 비교해 보며 최적의 대처는 무엇인지 알아보았습니다.

 

치매 , 연세가드신 노인 치매약

 

불면증 증상과 원인, 대처법

치매약 복용 후 불면증을 호소하는 환자들이 많습니다. 특히 도네페질(Donepezil)이나 리바스티그민(Rivastigmine) 같은 약물은 중추신경계에 작용하여 수면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잠들기 어렵거나 자주 깨는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약물 복용 시간을 아침으로 조정하거나, 수면 유도제와 같은 보조 약제를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 또, 수면 환경을 개선하고 카페인 섭취를 줄이는 등의 생활 습관 조절이 필요합니다. 의사와의 상담을 통해 약물의 용량을 조절하거나 대체 약물을 고려해 볼 수도 있습니다. 

 

깊은 잠에 드시지 못하고 자꾸 깨셔서 여기저기 집안을 돌아다니시기도 하고 낮에도 피곤하시면서 낮잠을 못자니 몸은 지쳐가시는듯 보였었습니다.

현기증의 원인과 예방법

현기증은 혈압의 변화, 탈수, 또는 약물의 부작용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주로 메만틴(Memantine) 등의 NMDA 수용체 길항제에서 관찰됩니다. 환자가 일어설 때 어지러움을 느끼는 기립성 저혈압이 나타날 수도 있어, 갑작스럽게 움직이는 것을 피하고 충분한 수분 섭취와 규칙적인 식사가 도움이 됩니다. 또한 고령 환자의 경우 평형감각 저하가 함께 오기 때문에 낙상 예방을 위해 보조 기구 사용도 고려해야 합니다. 현기증이 지속되거나 악화될 경우, 정확한 진단을 위해 이비인후과적 검진도 병행해야 합니다.

오심 및 소화장애, 그 대처법

치매약을 복용한 후 오심이나 식욕 저하, 위장 장애 등의 증상을 경험하는 환자도 적지 않습니다. 이는 위장관 자극 때문이며, 리바스티그민 경피 패치형으로 교체하면 증상이 완화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식후에 약을 복용하는 것이 위를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되며, 필요 시 위장약과 함께 병용할 수 있습니다. 약 복용을 중단하지 않고 증상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며, 장기적으로는 체중 감소나 영양 부족으로 이어질 수 있어 전문 영양사의 도움을 받는 것도 좋습니다. 

 

짧은시간에 체중이 거의 40% 가까이 줄어드시기에 식구들 모두 걱정하고 조금이라도 드시게 하려고 애썻던 기억이 있습니다. 그때는 의사 선생님고 상의하고 약을 조절 받았었습니다. 그렇게 몇년이 지나고 저희 어머님의 경우는 본인이 드신지 안드신지를 기억 못하시고, 치매로 배고픔 증상, 포만감을 잘 못느끼시며 많이 드시고 지금은 다시 원래의 체중으로 돌아 오셨습니다.

 

약물치료 vs 인지치료: 어떤 차이가 있을까?

치매 치료는 단일 접근법보다 복합적인 치료가 효과적입니다. 약물치료는 신경전달물질을 조절해 증상을 완화하고 진행을 늦추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그러나 인지치료는 환자의 일상 기억력, 언어능력,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줍니다. 약물은 단기적 효과가 뚜렷하지만, 인지치료는 장기적인 기능 유지에 효과적입니다.

 

 

 

각 치료법의 장단점

약물치료는 빠르게 증상을 완화시키지만 부작용의 위험이 있습니다. 인지치료는 부작용이 거의 없고 전반적인 기능 개선에 기여하지만, 효과가 나타나기까지 시간이 걸립니다. 또한 환자와 가족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수적입니다. 가장 효과적인 방식은 두 치료를 병행하는 것으로, 약물로 뇌 기능 저하를 막고 인지치료로 일상생활 기능을 회복하는 방식이 추천됩니다.

 

매일 매일 같은 시간에 주간보호 센터를 다녀오시고, 같은 시간에 식사를 하고, 같은 장소에 계시게 하여 안정감을 갖으실 수 있도록 하였으며, 매일 저녁 작은 소품들을 정리하게 하고, 빨래도 같이 개자고 하고, 마늘껍질 벗기기, 땅콩까기, 멸치 똥 정리하기등 하시던 가사일은 모두 함께 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마무리

치매약 복용 후 나타나는 다양한 증상들은 단순한 부작용 그 이상일 수 있으며,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합니다. 불면, 현기증, 오심 등 주요 증상에 따라 맞춤형 대처 전략이 필요하며, 약물치료와 인지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방법입니다. 의료진과의 꾸준한 상담과 환자 상태에 맞춘 치료계획 수립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치매 치료는 환자와 가족이 함께 만들어가는 여정입니다.

반응형